본문 바로가기
일상

주휴수당 계산기 계산방법과 꿀팁(조건,최저시급)

by 색다른 거북이 2023. 12. 12.

처음 아르바이트를 하는 학생이라면 잘 모를 수 있는 주휴수당에 대해 이야기해보고자 한다. 우리의 돈은 우리가 챙겨야 한다!!

주휴수당 계산기

1. 주휴수당의 정의 :

   . 일주일에 15시간 이상 근무한 근로자를 대상으로 1호 이상 유급휴일을 제공하는 수당

   . 쉽게 말해 주당 평균 1회의 이상의 유급휴일을 줘야 하며 그에 따른 수당이 바로 주휴수당이다.

2. 주휴수당의 조건 :

  . 월평균 주 15시간 이상 근무해야 하고, 근로계약서상 근로일 개근해야 한다. 

  . 알바도 주휴수당의 조건을 만족한다면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다. 

  . 예외의 경우

      - 계약서 없어도 받을 수 있고, 원래 근무가 12시간으로 못 받지만, 추가로 15시간까지 채우면 받을 수 있다.

      - 1주 근무 후 다음 주 퇴사 시 못 받는다.

3. 주휴수당의 계산법 :

  . 1주 40시간 근무와 40시간 미만 근무로 나눌 수 있다.

  . 40시간 이상근무 : 8시간을 기준으로 계산한다. ( 1주 총 근로시간/5일 =  8시간)

        - 주휴수당 = 8시간 * 시급

   . 40시간 미만근무 : 1주 총 근로시간 / 5일 = 1일 평균 근로시간

        - 주휴수당 : 1일 평균 근로시간 * 시급

4. 주휴 수당 계산기 :

   . 네이버의 주휴수당 계산기를 활용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.

   . 2024년 최저시급은 9,860원이다.(올해 최저시급에 2.5% 오름)

   . 하루 10시간씩 5일 근무했다고 가정하였다.

   . 총 받을 수 있는 급여는 9,860*50(근무수당)+ 9,860*8(주휴수당)=571,880원

   . 꿀팁! 네이버 주휴수당 계산기 활용 시 꼭 선택 근무시간을 체크해야 한다. 

네이버 주휴수당 계산기 링크
네이버 주휴수당 계산기 링크

. 주휴수당 폐지에 대한 지속적이 논란이 있지만, 노동자 입장에서는 없어져서는 안 될 수당이라고 생각한다.

댓글